직장인들에게는 상관없겠지만 자영업을 하시는 분들이나
직장을 그만두고 이직준비중이신 분들은 건강보험료를
직접 납부하셔야 하는데요....
좀 더 구체적으로 들어가서 자영업을 하시는 분들의 경우
자동이체로 납부하시는 경우가 많으실겁니다....
하지만 이직준비중에 건강보험료를 고지서를 받으신 분들은 정해진 기한안에 건강보험료를 납부 하셔야 하는데요....
오늘은 지역 건강보험료 인터넷 지로 납부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인터넷 지로 홈페이지(https://www.giro.or.kr/index.giro)를 방문하셔야 겠죠....
요즘은 각종 지방세 및 공과금등을 인터넷 지로를 이용해서 많이 납부하고 있는데요....
먼저 위와같이 인터넷 지로 홈페이지에 방문하셔서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합니다.
( 공과금 및 세금 납부를 위해서 인터넷 지로를 이용하시려면 공인인증서가 필수이기에 회원가입이 안되신 분들은
필히 가입을 권하는 바입니다.)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하신 후 아래 그림에서 처럼 [사회보험료]->[통합사회보험료]의 메뉴로 들어갑니다.
[통합사회보험료] 페이지에서 아래그림과 같이 [전자납부번호] 칸에 고지서에 명기되어 있는 [납부자 번호]를
입력 후 본인의 주민등록번호를 입력, 조회를 누릅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미납 상세내역이 나오고 그림의 [상세보기]를 누르면 납부페이지로 넘어갑니다.
납부페이지에서 아래 그림과 같이 네가지 항목을 입력 후 [납부하기]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1. [납부계좌번호] - 이체출금될 자신의 은행 및 계좌번호를 입력
2. [계좌소유주 생년월일] - 계좌소유주의 주민번호 앞자리 6자리를 입력
3. [계좌비밀번호] - 납부계좌의 비밀번호 4자리 입력
4. [긴급연락처] - 본인의 핸드폰 번호 입력
위의 4가지를 입력 후 납부하기를 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이 안내 팝업창이 뜨며 [확인]을 눌러주시면
납부가 완료 됩니다.
납부가 완료된 후에는 납부확인증을 확인 하셔서 정상 납부가 완료 되었는지 확인 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그럼 이상으로 지역 건강보험료 인터넷 지로 납부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집 내진설계 간편조회 방법 (0) | 2017.11.18 |
---|---|
실업급여 구직활동 3차 인터넷 등록 방법 (0) | 2017.11.17 |
고용보험 실업급여 신청 방법 (0) | 2017.11.09 |
기초 연금 (노인 연금) 수급 자격 대상 확인 방법 (0) | 2017.11.08 |
초간단 LED등 교체방법 (0) | 2017.11.07 |